DB 2

JOIN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Table JOIN이란? 2. JOIN 2.1 Inner JOIN 2.2 Outer JOIN 1. Table JOIN이란? Table JOIN이란 복수의 테이블을 결합하는 것으로, 데이터 조회 시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를 함께 조회해야할 때 이용한다. 2. JOIN JOIN은 크게 Inner Join과 Outer Join으로 나뉜다. 2.1 Inner JOIN Join에 대해 얘기할 때는 보통 Inner Join을 지칭하는데, 테이블 데이터 간 교집합을 말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위 그림을 보면 Table A는 상품을 관리하는 테이블이며, Table B는 상품에 대한 재고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저 정도의 데이터는 한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되지만 이해를 위해 각 테이블에 훨씬 많은 컬럼들이 존재한다..

DB 2024.04.06

정규화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정규화란 무엇일까? 2. 정규화의 장단점 정규화란 무엇일까? 정규화란 이상현상이 있는 테이블을 분해하여 이상현상을 없애는 과정이다. 이상현상이 존재하는 테이블을 분해하여 여러 개의 테이블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구분하여 정규형이 높아질수록 이상현상은 줄어들게 된다. 즉, 쉽게 말하면 테이블 간에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결성를 유지할 수 있으며, DB의 저장 용량 역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을 분해하는 정규화 단계가 정의되어 있다. 이상 종류 이상 종류란 정규화를 거치지 않은 데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삽입 이상 : 데이터 삽입 시 의도와 다른 값들도 삽입 삭제 이상 : 데이터 삭제 시 의도와 다른 값들도 연쇄 삭제..

DB 2024.03.30